기획/이슈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고양시, 2025년 달라지는 복지제도… 시민 행복 최우선, 맞춤형 복지도시 실현
- 중위소득 및 생계급여 인상 등 취약계층 복지 튼튼하게

- 연령·소득 무관한 ‘누구나 돌봄’, 365일 24시간 ‘언제나 어린이집’ 신규 운영

- 장애인, 노인 등 사회안전망 구축… 민관 협력 고독사 예방에도 힘써

 
박정호 기자 기사입력 :  2025/01/03 [14:29]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고양특례시가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복지 정책을 꾸준히 개선, 확대하고 사회적 약자를 더욱 두텁게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2025년 사회복지 분야 예산은 전년 대비 4.83% 증가한 1조4천6백억 원으로 기초생활보장, 기초연금 등 사회적 취약계층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제도를 체계화하여 복지 사각지대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 사진제공=고양시  ©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올 한 해 취약계층 지원과 지역사회 돌봄을 강화하고 고독사 예방과 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등 맞춤형 합리적 복지 구현을 목표로 한 걸음 더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기준중위소득 인상, 생계급여 제도 개선… 저소득 한부모가족 양육비 증가

 

2025년 기준중위소득은 맞춤형 급여체제로 전환된 2015년 이후 역대 최대 증가율을 보였다. 4인 가구 기준으로 지난해 572만 9913원 대비 6.42% 인상된 609만 7,773원, 생계·의료·주거·교육 급여를 포함한 전체 수급가구의 약 74%를 차지하는 1인 가구 기준은 작년 222만 8,445원 대비 7.34% 인상된 239만 2,013원으로 결정됐다.

 

  ©

 

또한 수급 대상 확대를 위해 생계급여 제도개선을 적극 추진한다. 일반재산 환산율(4.17%)을 적용하는 자동차 재산 기준은 2,000cc, 500만 원 미만으로 완화, 부양의무자 기준은 연 소득 1.3억 원, 재산 12억 초과로 완화됐다.

 

근로 사업 소득 공제는 일반 수급자 대상 30%를 적용, 65세 이상 노인은 ‘20만 원+30%’ 추가공제를 적용한다.

 

자녀당 월 21만 원이 지원되던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는 월 23만 원으로 인상된다. 가구주가 24세 미만인 청소년 한부모 가족의 경우 아동 양육비가 월 35만 원에서 37만 원으로 늘어난다.

 

또 중고등학생에게만 지원되던 연 9.3만 원 학용품비를 초등학생까지 확대 지원한다.

 

아울러 저소득층(수급자, 차상위, 한부모가족) 여성 청소년을 위한 생리용품 바우처 지원 금액은 월 13,000원에서 14,000원(연 최대 168,000원)으로 변경돼 작년 대비 8% 인상됐다. 

 

한편 취약계층 아동이 사회 진출 시 초기 비용 마련을 위한 디딤씨앗통장 가입 대상을 당초 기초생활수급 아동과 보호대상 아동에서 차상위계층과 한부모 가정 아동까지 확대하여 적극 지원한다. 대상자 확대로 약 3천여 명 아동이 추가적 경제적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누구나 돌봄’, ‘언제나 어린이집’ 운영 시작… 발달재활서비스 등 장애인 복지 확대 

 

올해부터 생활돌봄, 동행돌봄, 주거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 돌봄 공백을 보완하는‘누구나 돌봄’사업이 시작된다.

 

1인당 연간 150만 원 한도 내에서 소득 수준에 따라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는 이용료 전액, 120% 초과 150% 이하는 이용료의 50%를 지원받아 이용 가능하며 150%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자부담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양육부담 해소와 돌봄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한 아이돌봄서비스 이용요금 정부 지원 대상은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에서 200% 이하 가구까지 확대 지원한다.

 

또한 일시적이고 긴급한 상황 발생 시 365일 24시간 언제든지 안심하고 자녀를 맡길 수 있는 ‘언제나 어린이집’을 신규 지정해 3월부터 운영할 계획이다.

 

 

▲ 사진제공=고양시  ©

 

언제나 어린이집은 경기도 내 거주하는 생후 6개월에서 7세(취학 전 영유아) 아동을 대상으로 일시적·긴급 보육 필요시 신청 가능하다. 새벽·주말·공휴일 보육도 지원해 보육 사각지대 해소에 기여할 예정이다. 

 

시간제보육 제공기관은 2025년까지 독립반 9개 반, 통합반 38개 반으로 늘려 시간제보육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고 보육 부담을 덜어줄 방침이다. 

 

한편 성장기 미등록 장애 아동의 행동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발달재활서비스 지원 연령을 6세에서 9세 미만으로 확대한다.

 

오는 7월부터는 장애인자립생활지원센터가 장애인복지시설로 편입된다.

 

 

▲ 사진제공=고양시  ©

 

장애인복지법 규정을 적용받게 돼 법적 보호와 권리 보장이 강화되고, 센터 운영에 대한 체계적 관리와 감독이 이뤄져 서비스 품질과 투명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기초연금 2.6% 인상, 장기요양기관 지정갱신제 도입… 고독사 예방 사업 강화

 

65세 이상 기초연금은 지난해 대비 2.6% 인상돼 단독가구 기준 최대 34만 3,510원(8,700원 증가), 부부가구 기준 최대 54만 9,600원(1만 3,920원 증가)을 지원한다.

 

또한 지정일 기준 6년이 도래한 장기요양기관을 대상으로 지정갱신제를 도입한다. 갱신을 위한 재심사 항목은 행정처분이력, 시설 및 인력 준수 여부, 급여제공이력, 국민건강보험공단 평가 결과 등이다. 

 

한편 보건복지부 고독사 예방 및 관리 시범사업 확대에 따라 지난해 하반기부터 추진한 고독사 예방 사업을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확대 시행한다.

 

 

▲ 사진제공=고양시  ©

 

민관이 협력해  고독사 위험자 발굴부터 예방·관리 전반에 걸친 체계를 구축하고, 고독사 위험자를 대상으로 안부 확인, 환경개선 사업, 사회관계망 형성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고독사 사망자에 대한 특수청소 비용 지원 사업도 추진하는 등 더욱 촘촘한 복지안전망을 구축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올해 달라지는 제도와 정책에 대해 누리집,  SNS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홍보해 시민들이 불편을 겪거나 이용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Goyang City, welfare system changes in 2025… Prioritizing citizen happiness, realizing a customized welfare city

- Strengthening welfare for vulnerable groups such as increasing middle-income and livelihood benefits

- ‘Care for everyone’ regardless of age or income, new operation of ‘Always Daycare Center’ 24 hours a day, 365 days a year

- Establishing a social safety net for the disabled, the elderly, etc.… Efforts also made to prevent lonely deaths through public-private cooperation

 

Goyang Special City announced that it will steadily improve and expand welfare policies and provide more support to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its citizens. According to the city, the 2025 social welfare budget is 1.46 trillion won, a 4.83%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focusing on expanding the target of support for socially vulnerable groups such as basic livelihood security and basic pension, and systematizing the system to reduce blind spots in welfare.

 

Goyang Special City Mayor Lee Dong-hwan said, “This year, we will take a step further toward implementing customized and rational welfare by strengthening support for vulnerable groups and community care and establishing a system to prevent and manage lonely deaths.”

 

Raising the standard median income, improving the livelihood benefit system… Increase in childcare expenses for low-income single-parent families

 

The standard median income in 2025 showed the largest increase rate since the transition to a customized benefit system in 2015. Based on a four-person household, it was set at KRW 6,097,773, up 6.42% from KRW 5,729,913 last year, and for a one-person household, which accounts for about 74% of all households receiving livelihood, medical, housing, and education benefits, it was set at KRW 2,392,013, up 7.34% from KRW 2,228,445 last year.

 

In addition, we will actively pursue improving the livelihood benefit system to expand the recipients. The automobile property standard applying the general property conversion rate (4.17%) has been relaxed to 2,000cc, less than 5 million won, and the criteria for dependents have been relaxed to annual income of 130 million won and assets exceeding 1.2 billion won. The income deduction for employment and business is applied at 30% for general recipients, and an additional deduction of ‘200,000 won + 30%’ is applied for seniors over 65 years old.

 

The child support expenses for low-income single-parent families, which were previously supported at 210,000 won per child, will be increased to 230,000 won per month. For single-parent families with a household head under 24 years old, the child support expenses will increase from 350,000 won to 370,000 won per month. In addition, the school supplies expenses of 93,000 won per year, which were previously supported only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ll be expanded to inclu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amount of sanitary product voucher support for low-income (recipients, near-poor, single-parent families) female youth was changed from KRW 13,000 to KRW 14,000 per month (up to KRW 168,000 per year), an 8% increase from last year.

 

Meanwhile, the target of the Stepping Stone Savings Account for vulnerable children to secure initial expenses when entering society was expanded from the original basic livelihood recipients and children in need of protection to children from near-poor families and single-parent families, and will be actively supported. It is expected that approximately 3,000 children will be able to receive additional economic support due to the expansion of the target group.

 

‘Everyone Cares’, ‘Always Daycare’ Operation Begins… Expansion of Welfare for the Disabled, including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Starting this year, the ‘Everyone Cares’ project, which complements the existing care gap in various fields such as living care, accompanying care, and residential safety, will begin. Within the limit of 1.5 million won per person per year, those with income levels below 120% of the standard median income can use the service with full support for the usage fee, those with income levels between 120% and 150% can use the service with 50% of the usage fee, and those with income levels above 150% can use the service with self-payment.

 

In order to relieve the burden of childcare and strengthen care services, the government support for childcare service usage fees will be expanded from households with income levels below 150% of the standard median income to households with income levels below 200%.

 

In addition, a new ‘Always Daycare Center’ will be designated and will be operated starting in March, where children can be safely left at any time, 24 hours a day, 365 days a year, in case of temporary and urgent situations. The Always Daycare Center is open to children aged 6 months to 7 years old (infants before school age) residing in Gyeonggi Province who need temporary and emergency childcar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liminating blind spots in childcare by supporting childcare at dawn, on weekends, and on public holidays.

 

The number of part-time childcare providers will increase to 9 independent classes and 38 integrated classes by 2025, improving accessibility to part-time childcare and reducing the burden of childcare.

 

Meanwhile, in order to support the behavioral development of unregistered disabled children in the growth period, the age of support for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will be expanded from 6 to under 9 years old. Starting in July, the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for the Disabled will be incorporated into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Since it will be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the Welfare of the Disabled Act, legal protection and guarantee of rights will be strengthened, and systematic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center operation are expected to improve service quality and transparency.

 

Basic pension increased by 2.6%, long-term care facility designation renewal system introduced… Strengthening the Prevention of Lonely Deaths Project

 

The basic pension for those aged 65 and over has increased by 2.6% compared to last year, providing up to KRW 343,510 (an increase of KRW 8,700) for single-person households and up to KRW 549,600 (an increase of KRW 13,920) for couple households.

 

In addition, a designation renewal system will be introduced for long-term care facilities that have been in operation for 6 years from the date of designation. Items for reexamination for renewal include administrative disposition history, facility and personnel compliance, benefit provision history,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evaluation results.

 

Meanwhile, the Lonely Death Prevention Project, which has been promoted since the second half of last year, will be fully expanded and implemented starting this year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pilot project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lonely deaths.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will work together to establish a system that covers everything from the detection of those at risk of lonely deaths to prevention and management, and will operate programs to check on their well-being, improve the environment, and form social networks for those at risk of lonely deaths. We plan to build a tighter welfare safety net, including promoting a special cleaning cost support project for those who died alone.

 

A city official said, “We will do our best to actively promote the changes in systems and policies this year through our website and SNS so that citizens do not experience inconvenience or are unable to use the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고양 브레이크뉴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고양시 관련기사목록